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람세스 2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람세스 2세는 기원전 1303년경 출생하여 기원전 1279년경 파라오로 즉위한 이집트 제19왕조의 파라오이다. 그는 66년 이상 이집트를 통치하며 아부 심벨 신전, 카르나크 신전, 라메세움 등 수많은 건축물을 건설하고, 히타이트와의 카데시 전투를 벌였다. 람세스 2세는 히타이트와 평화 조약을 체결하고, 누비아 원정을 통해 이집트의 영토를 확장했으며, 90세 전후로 사망했다. 그의 삶과 업적은 현대에도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고 있으며, 출애굽기의 파라오로 추정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집트 제19왕조의 파라오 - 람세스 1세
    람세스 1세는 군인 가문 출신으로 호렘헤브의 후계자가 되어 이집트 제19왕조를 창시했으며, 짧은 재위 기간 동안 카르나크 신전 완공 감독, 아비도스 예배당 및 신전 건설 지시 등의 업적을 남겼다.
  • 이집트 제19왕조의 파라오 - 세티 1세
    세티 1세는 이집트 제19왕조의 파라오로, 혼란해진 왕국 질서를 재확립하고 이집트의 주권을 회복하는 데 힘썼으며, 활발한 군사 활동과 건축 사업을 통해 국력을 과시하고, 아비도스 장제전에 왕명표를 남겨 이집트 역사 연구에 기여했다.
  • 기원전 13세기 이집트 - 이집트 제18왕조
    이집트 제18왕조는 아흐모세 1세가 기원전 1550년경 건국하여 기원전 1298년경까지 존속한 이집트 신왕국의 첫 번째 왕조로, 힉소스 축출과 투트모세 3세의 제국 확장, 아멘호테프 4세의 종교 개혁, 투탕카멘의 복고를 거쳐 호렘헤브 때 막을 내렸다.
  • 기원전 13세기 이집트 - 람세스 1세
    람세스 1세는 군인 가문 출신으로 호렘헤브의 후계자가 되어 이집트 제19왕조를 창시했으며, 짧은 재위 기간 동안 카르나크 신전 완공 감독, 아비도스 예배당 및 신전 건설 지시 등의 업적을 남겼다.
  • 기원전 13세기 파라오 - 람세스 1세
    람세스 1세는 군인 가문 출신으로 호렘헤브의 후계자가 되어 이집트 제19왕조를 창시했으며, 짧은 재위 기간 동안 카르나크 신전 완공 감독, 아비도스 예배당 및 신전 건설 지시 등의 업적을 남겼다.
  • 기원전 13세기 파라오 - 세티 1세
    세티 1세는 이집트 제19왕조의 파라오로, 혼란해진 왕국 질서를 재확립하고 이집트의 주권을 회복하는 데 힘썼으며, 활발한 군사 활동과 건축 사업을 통해 국력을 과시하고, 아비도스 장제전에 왕명표를 남겨 이집트 역사 연구에 기여했다.
람세스 2세
기본 정보
람세스 2세의 조각상,
젊은 멤논 (기원전 1250년경), 람세스 2세를 묘사한 조각상, 테베의 람세스 장제전에서 출토. 현재 런던의 대영 박물관에 전시됨.
다른 이름람세스 대왕, 오지만디아스
이집트어 이름rꜥ-ms-sw
이집트어 (음차)Rīꜥa-masē-sə
이집트어 (IPA)ɾiːʕamaˈseːsə
재위 기간기원전 1279년 – 기원전 1213년
출생기원전 1303년경
사망기원전 1213년경 (90–91세)
매장지KV7
기념물아부 심벨, 아비도스, 람세스 장제전, 룩소르, 카르나크
통치 정보
왕조제19왕조
선임자세티 1세
후임자메르네프타
호칭
호루스 이름카 나크트, 메리 마아트
호루스 이름 (상형문자)E1:D44-C10-mr
호루스 이름 (번역)정의 (진실)을 사랑하는 강한 황소
네브티 이름메크 케메트, 와프 카수트
네브티 이름 (상형문자)G20-V31-I6-t:O49-G45-f:Z7
D44-N25-t:Z2
네브티 이름 (번역)외지를 억제하는 이집트의 보호자
황금 호루스 이름우세르 렌푸트, 아아 나크투
황금 호루스 이름 (상형문자)wsr-s-M4-M4-M4-O29:D44:Z2
황금 호루스 이름 (번역)풍요로운 세월 - 위대한 승리
즉위명우세르마트레 세테펜레
즉위명 (상형문자)ra-wsr-mAat-ra*stp:n
즉위명 (번역)라의 정의는 강력하다 - 라가 선택한 자
탄생명라메수, 메리 아문
탄생명 (상형문자)i-mn:n:N36-ra:Z1-ms-s-sw
탄생명 (번역)라는 그를 낳은 자, 아문이 사랑하는 자
가족 관계
배우자네페르타리, 이세트노프레트, 마아트호르네페루레, 메리트아멘, 빈타나트, 네베타위, 헤누트미레
자녀88–103명 (람세스 2세의 자녀 목록)
아버지세티 1세
어머니투야
기타 정보
관련 인물하투실리 3세

2. 생애

람세스 2세는 기원전 1303년경 파라오 세티 1세와 왕비 투야 사이에서 태어나, 26세에 즉위하여 64년간 통치한 뒤 90세에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그의 치세 동안 이집트는 리비아, 누비아, 팔레스타인으로 세력을 확장했다. 기원전 13세기 기원전 1286년경에는 총 2만 명의 병력을 이끌고 메소포타미아로 친정을 시작하여 카데쉬 전투를 벌였다.

람세스 2세는 히타이트와 팔레스타인을 사이에 두고 세력을 다투었다. 기원전 1274년 카데쉬 전투에서 직접 출정하여 히타이트 왕 무와탈리 2세와 전투를 벌였다. 이집트는 거짓 정보에 속아 주력 군단이 괴멸당할 정도의 고전을 면치 못했고, 결국 히타이트 세력을 팔레스타인에서 몰아내지 못했다. 양측은 장기간 전쟁을 계속하던 중, 람세스 2세의 재위 21년째인 기원전 1268년에 평화조약을 체결하고 휴전하였다. 람세스 2세는 히타이트 왕녀를 왕비로 맞이하였는데, 이는 세계사에서 최초의 평화조약이라 평가받는다.

카데시 전투에서의 람세스 2세(아부 심벨 신전 벽화)


전사 모습의 람세스 2세


람세스 2세는 또한 나일 제1 강을 넘어 누비아로 원정을 떠났다. 그는 많은 전승 기념비를 세웠으며, 현재도 기념비의 상당수가 남아있는 파라오가 되었다.

람세스 2세는 첫 번째 왕비 네페르타리를 포함하여 여러 명의 왕비 및 측실과의 사이에서 카엠와세트, 후계자였던 메르넵타 등 매우 많은 자식들을 낳았다고 전해진다. 다만, 이들 대부분이 양자이며 왕의 아들이란 칭호를 하사받은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그의 즉위명은 우세르마아트라 세텝엔라(User maat Ra-Setep en Ra)로, "라의 마아트(정의, 진리, 우주의 질서 등을 의미)는 강력하다. (그는) 라에게 선택받은 자"를 의미하며, 이를 그리스어로 음차한 "'''오지멘디아스'''(코이네: Οσυμανδύαςel, Osymandýas)"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2. 1. 초기 생애

람세스 2세는 기원전 1303년경 파라오 세티 1세와 왕비 투야 사이에서 태어났다.[10] 그는 왕자로 태어나지는 않았지만, 할아버지 람세스 1세가 파라오 호렘헤브의 후계자로 지명되면서 왕족의 일원이 되었다. 람세스 1세 사후, 세티 1세가 즉위했고 람세스 2세는 14세에 섭정 왕자로 임명되었다.

하우론(카이로 이집트 박물관)에게 안긴 어린 람세스 2세


람세스 2세에게는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왕태자 형이 있었으나, 어느 시점에서 기록이 사라지고 벽화도 동생의 모습으로 바뀌었다. 성장 후 람세스 2세는 최소 3년 정도 아버지 세티 1세와 공동 통치를 했다. 처음에는 아버지 세티 1세가 외정과 외교를, 람세스 2세는 내정을 담당했다. 기원전 1304년, 람세스 2세는 아버지 사후 25세에 파라오로 즉위했다.

람세스 2세는 이집트 제19왕조를 다시 강국으로 부활시켰다. 그의 즉위 연도는 기원전 1304년, 기원전 1290년, 또는 1279년경으로 추정된다.

첫 번째 왕비는 네페르타리였으며, 그녀는 세티 1세가 선택한 많은 왕비 중 한 명이었다.

2. 2. 즉위와 통치 기간

람세스 2세는 기원전 1279년, 20대 중반의 나이에 파라오로 즉위했다. 대부분의 이집트학자들은 람세스 2세가 즉위한 날을 III 세무 27일, 즉 기원전 1279년 5월 31일로 추정한다. 그는 66년 동안 이집트를 통치하여 이집트 역사상 가장 긴 통치 기간을 기록했다. 유대인 역사가 요세푸스는 그의 저서 ''아피온 반박''에서 마네토의 ''아이귑티아카''의 자료를 인용하여 람세스 2세("아르메세스 미아문")의 통치 기간을 66년 2개월로 기록했다.[11] 이는 파피루스 구로브 조각 L의 달력에서도 사실상 확인된다. 람세스 2세는 그의 통치 67년째 약 2개월 만에 사망했음을 알 수 있다.[12]

람세스 2세는 즉위 초부터 적극적인 군사 활동을 펼쳤다. 그의 치세 동안 이집트는 리비아, 누비아, 팔레스타인으로 세력을 확장했다. 기원전 13세기 기원전 1286년경에는 총 2만 명의 병력을 이끌고 메소포타미아로 친정을 시작하여 카데쉬 전투를 벌이기도 했다.

람세스 2세는 또한 나일 제1 강을 넘어 누비아로 원정을 떠나기도 했다.

2. 3. 가족 관계

람세스 2세는 여러 명의 왕비와 후궁을 두었으며, 100명이 넘는 자녀를 둔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그의 첫 번째 왕비는 네페르타리였으며, 그녀는 람세스 2세의 가장 사랑받는 왕비 중 한 명이었다. 람세스 2세는 네페르타리를 위해 아부심벨 소신전을 건설하기도 했다. 람세스 2세의 자녀 중에는 현자로 명성이 높았던 카엠와세트와 후계자가 된 메르넵타 등이 있다.

람세스 2세의 가족 관계
이름관계설명
네페르타리정비람세스 2세의 첫 번째 정비. 람세스 2세 즉위 전에 결혼. 상 이집트 대표. 아부심벨 소신전 건립. 왕비의 계곡 QV66에 매장.
이세트노프레트 1세정비출신 불명. 하 이집트 대표. 빈트아나트, 카엠와세트, 메르넵타의 어머니.
빈트아나트정비, 딸람세스 2세와 이세트노프레트 1세의 딸. 왕비의 계곡 QV71에 매장.
메리타멘정비, 딸람세스 2세와 네페르타리의 딸. 왕비의 계곡 QV68에 매장.
네베타위정비, 딸이세트노프레트 1세의 딸로 추정. 왕비의 계곡 QV60에 매장.
헤누트미레정비, 여동생람세스 2세의 친동생.
마아트네페르라정비히타이트의 공주. 이집트-히타이트 평화 조약 체결 후 결혼.
투야어머니세티 1세의 왕비. 람세스 2세 즉위 후 활약.
스테렐리(Sutererey)측비왕자 람세스-셉타(Remesses-Siptah)의 어머니.
이에(Iwy)측비공주 피피(Pypuy)의 어머니.
아멘헤르케프셰프아들람세스 2세와 네페르타리의 장남. 첫 번째 왕태자. 왕가의 계곡 KV5에 매장.
람세스(Remesses)아들람세스 2세와 이세트노프레트 1세의 아들. 두 번째 왕태자. 왕가의 계곡 KV5에 매장.
프레히르원메프(Pre-hirwonmef)아들람세스 2세와 네페르타리의 아들.
카엠와세트아들람세스 2세와 이세트노프레트 1세의 아들. 세 번째 왕태자. 프타 신의 최고 사제.
세티(Sethi)아들네페르타리 또는 이세트노프레트 1세의 아들로 추정.
메르넵타아들람세스 2세와 이세트노프레트 1세의 아들. 이집트 제19왕조의 네 번째 파라오.
메르아툼(Meryatum)아들람세스 2세와 네페르타리의 아들. 의 대사제.
시멘투(Simentu)아들멤피스의 왕립 포도원 관리자.
람세스-셉타(Remesses-Siptah)아들람세스 2세와 측실 스테라리의 아들.
바케무트(Bakemut)
네페르타리(Nefertari)네페르타리의 딸로 추정.
이시스네페르트(Isetnofret)이세트노프레트 1세의 딸로 추정.
헤누타위(Henuttawy)람세스 2세와 네페르타리의 딸.


3. 군사 업적

람세스 2세는 이집트 국경을 확보하고 이전 영토를 되찾기 위해 여러 차례 원정을 떠났다. 히타이트와 전쟁을 벌이기도 했지만, 실리를 추구하여 휴전을 맺고 50년 동안 평화를 유지했다.[90]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이집트 군대는 약 10만 명으로 추산되는 강력한 군대였다.[15]

람세스 2세는 군 개혁을 위해 아들들을 군 대장 자리에 임명하고, 누비아인, 리비아인, 아시아인으로 구성된 파라오 근위군단을 창설했다. 이들은 훗날 이집트 제3중간기까지 이집트 군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

3. 1. 셰르덴 해적과의 전투

람세스 2세는 즉위 2년 차에 이집트의 지중해 해안을 따라 항해하는 화물선을 공격하여 피해를 입히던 셰르덴 해적을 결정적으로 격파했다. 셰르덴 해적은 이오니아 해안, 아나톨리아 남서부, 또는 사르데냐 섬에서 온 것으로 추정된다.[16][17] 람세스 2세는 해안의 전략적 요충지에 군대와 선박을 배치하고 해적들이 공격해 오기를 기다렸다가, 해상 전투에서 기습하여 한 번의 작전으로 그들을 모두 사로잡았다.[18]

이집트 타니스에서 발견된 석비에는 "바다 한가운데서 그들의 군함을 타고 와서 그들 앞에 맞설 자가 아무도 없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나일강 어귀 근처에서 해상 전투가 벌어졌을 것으로 추정되며, 그 직후 많은 셰르덴 해적들이 파라오의 근위병으로 등장하는데, 이들은 뿔 모양의 헬멧, 둥근 방패, 나우에 II 검으로 눈에 띄었다. 이들은 카데시 전투 비문에도 묘사되어 있다.[18] 이 해상 전투에서 람세스 2세는 셰르덴 외에도 루카 (L'kkw, 아마도 나중에 리키아인으로 알려진 사람들)와 Šqrsšw (셰켈레쉬)를 격파했다.

3. 2. 시리아 원정과 카데시 전투

람세스 2세는 시리아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여러 차례 원정을 감행했다. 재위 4년에 시리아 원정 중 히타이트의 속국이었던 아무루를 점령했다.[25] 그의 통치 5년(기원전 1274년)에 벌어진 카데시 전투는 람세스 2세의 군사 활동 중 가장 유명한 사건이다.[20] 람세스 2세는 히타이트 왕 무와탈리 2세와 카데시에서 격돌했으나, 초기에는 거짓 정보에 속아 고전을 면치 못했다.[21] 그러나 이집트군은 반격에 성공하여 히타이트군을 격파했고, 람세스 2세는 큰 승리를 거두었다고 주장했다.[22][23]



카데시 전투의 결과에 대해서는 양측의 기록이 달라 논란의 여지가 있다. 하지만 이 전투 이후 람세스 2세는 히타이트와 평화 조약을 체결하고, 히타이트 왕녀를 왕비로 맞이했다.[24]

람세스 2세는 새로운 수도인 피-람세스를 건설하고, 그곳에서 무기, 전차, 방패를 생산하는 공장을 건설하여 군사력을 강화했다.[15] 이러한 준비를 바탕으로 레반트 지역을 공격하여 히타이트 제국과 맞섰다.

이집트 자료에 따르면, 람세스 2세는 한 달 동안 가나안을 지나 카데시에 도착했고, 그곳에서 히타이트군의 매복에 걸려 수적으로 열세에 놓였다. 그러나 다른 이집트 사단의 지원을 받아 반격하여 히타이트군을 격파하고, 생존자들은 오론테스 강을 헤엄쳐 도시 성벽으로 도달했다.[21] 람세스는 전장을 장악했지만, 장기간의 포위 유지를 위한 물류 지원이 부족하여 이집트로 돌아갔다.[22][23]

람세스 2세는 큰 승리를 거두었다고 주장했지만, 실제 전투 측면에서는 기술적으로 사실이었지만, 이집트군이 전투 후 퇴각하고 히타이트군이 침략하여 다마스쿠스 지역의 이집트 영토를 잠시 점령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전체 캠페인과 관련하여 히타이트가 최종 승리자로 여겨진다.[24] 이집트의 영향력은 가나안으로 제한되었고, 시리아히타이트의 손에 들어갔다.

이후 람세스 2세는 가나안 군주들의 반란을 진압하고 히타이트의 진격을 저지하기 위해 새로운 군사 원정을 감행했다. 그의 통치 7년째 후반(기원전 1272년 4/5월[26])에 다시 시리아로 돌아와 히타이트 적에 맞서 더 성공적인 결과를 거두었다. 그는 군대를 둘로 나누어 아들 아문-헤르-케페셰프가 이끄는 부대는 네게브를 넘어 사해까지 샤수 부족의 전사들을 추격하여 에돔-세이르을 점령하고 모압을 점령했다. 람세스 자신이 이끄는 부대는 예루살렘과 여리고를 공격하고 모압으로 들어가 아들과 재회했다. 재결합된 군대는 헤스본, 다마스쿠스로 진군하여 쿠미디에 도착했고, 마침내 우피(다마스쿠스 주변 지역)를 재점령하여 이집트의 이전 영향력을 회복했다.[27]

3. 3. 후기 군사 활동

람세스 2세는 카데시 전투 이후에도 군사 활동을 계속했다. 람세스 2세는 재위 8년과 9년에 군사적 성공을 거두었다.[28] 그는 나르 알 칼브 강(Dog River)을 건너 북쪽 아무루 왕국까지 진출했다.[28] 그의 군대는 북쪽으로 다푸르까지 진군하여 그곳에 자신의 조각상을 세웠다. 그는 다푸르를 포위한 후 점령하고 이집트로 돌아갔다.[28]

람세스 2세는 또한 나일강 첫 번째 폭포 남쪽 누비아까지 원정을 벌였다.[36] 람세스가 22세쯤 되었을 때, 그의 아들 중 두 명은 그 원정에 동행했다. 람세스 시대에 누비아는 200년 동안 이집트의 식민지였지만, 람세스 2세는 베이트 엘-와리, 게르프 후세인, 칼랍샤에 건설한 사원의 장식에서 누비아 정복을 기념했다.[36]

3. 4. 히타이트와의 평화 조약

히타이트 (Hittites)의 하투실리 3세이집트의 람세스 2세 간의 조약. 이집트 고고학 박물관에서 발견된 조약 태블릿


람세스 2세는 오랜 전쟁 끝에 히타이트와 평화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은 세계 역사상 최초의 평화 조약으로 평가받으며, 양국 간의 영토 분쟁을 해결하고 평화적인 관계를 수립하는 데 기여했다.[90] 람세스 2세는 히타이트 왕 하투실리 3세와 조약을 체결하고, 히타이트 공주를 왕비로 맞이했다.

이 평화 조약은 이집트 상형 문자와 설형 문자를 사용한 히타이트어, 두 가지 버전으로 기록되었으며 두 버전 모두 남아있다. 이러한 이중 언어 기록은 이후 많은 조약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이 조약은 두 언어 버전의 문구가 다르다는 점에서 다른 조약과 다른데, 히타이트 버전에는 이집트인들이 평화를 구걸하러 왔다고 적혀 있고 이집트 버전에는 그 반대로 적혀 있다. 조약은 은판 형태로 이집트인들에게 주어졌고, 이 "포켓북" 버전은 이집트로 가져와 카르나크 신전에 새겨졌다.

평화 조약은 람세스 2세와 하투실리 3세 사이에 람세스 치세 21년(기원전 1259년경)에 체결되었다.[35] 조약의 18개 조항은 이집트와 하티 간의 평화를 요구하고, 각자의 신들도 평화를 요구한다고 주장한다. 조약에는 국경이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다른 문서에서 추론할 수 있다. 평화 조약 체결 후 가나안에서 더 이상의 이집트 원정은 언급되지 않으며, 북쪽 국경은 안전하고 조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파라오의 통치는 람세스 2세 사후 및 이후 왕조의 쇠퇴까지 굳건했다.

4. 건축 사업

람세스 2세는 이집트 역사상 가장 많은 건축물을 남긴 파라오로 알려져 있다. 그는 아부심벨 신전, 카르나크 신전, 라메세움 등 수많은 신전과 기념물을 건설하여 자신의 업적을 과시하고, 이집트의 문화적 발전에 기여했다.[90]

람세스 2세는 통치 3년 차에 피라미드 이후 가장 야심찬 건축 사업을 시작했다. 그는 델타 지역에서 누비아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건축하여 "그 이전의 어떤 군주도 하지 못한 방식으로 땅을 건물로 덮었다".

그가 수행한 활동 중 일부는 기존 건축물을 개조하거나, 석조 기술을 향상시키고, 선전을 위한 예술을 사용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 테베에서 고대 사원들은 각각 람세스 2세의 신성한 본성과 권력의 상징으로서 그에게 경의를 표하도록 변화되었다.
  • 이전 파라오들의 우아하지만 얕은 부조는 쉽게 변형될 수 있었기에, 람세스 2세는 자신의 조각이 돌에 깊이 새겨지도록 했다. 이는 나중에 변경될 가능성을 줄였을 뿐만 아니라 이집트의 태양 아래에서 더욱 눈에 띄게 만들어 태양신 와의 관계를 반영했다.
  • 람세스 2세는 여러 사원 부조에 묘사된 외국인에 대한 승리를 선전하는 수단으로 예술을 사용했다.
  • 그의 카르투슈는 그가 건설하지 않은 건물에도 눈에 띄게 전시되어 있다.[40]
  • 그는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델타에 새로운 수도인 파이람세스를 건설했다. 그곳은 이전에 세티 1세의 통치 기간 동안 여름 궁전으로 사용되었다.
  • 람세스 2세는 아쿠야티(오늘날의 와디 알라키)에서 금 채굴 작업을 확장했다.[41]


람세스 2세는 또한 많은 새로운 건설 사업을 수행했다. 파이람세스 외에 그의 가장 큰 두 작품은 아부 심벨 신전 단지와 서부 테베에 있는 장제전인 라메세움이었다.

라메세움


룩소르 제1 주랑식 안뜰에 있는 람세스 2세의 거상

4. 1. 아부심벨 신전

아부 심벨 신전은 람세스 2세가 누비아에 건설한 대표적인 건축물이다. 기원전 1255년, 람세스 2세와 그의 왕비 네페르타리는 아부 심벨 신전 낙성식을 위해 누비아로 여행했다.[40] 이 신전은 거대한 암벽을 깎아 만든 것으로, 람세스 2세와 네페르타리에게 헌정되었다. 아부 심벨 신전은 람세스 2세가 스스로를 신격화하려는 의도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건축물이라고 할 수 있다.

아부 심벨 대신전 정면


아부 심벨 신전은 1813년 스위스의 오리엔탈리스트이자 여행가인 요한 루드비히 부르크하르트에 의해 발견되었다. 당시 신전은 거대한 모래 더미에 거의 덮여 있었고, 입구는 4년 동안 막혀 있었다. 파도바 출신의 탐험가 조반니 바티스타 벨초니가 1817년 8월 4일에 신전 내부에 도달하는 데 성공했다.

아부 심벨 신전은 1960년대 아스완 하이 댐 건설로 수몰될 위기에 처했으나, 유네스코의 주도로 국제적인 구제 캠페인이 전개되어 성공적으로 이전되었다. 이를 계기로 세계 유산 제도가 제정되었다. 현재 아부 심벨 신전은 세계 유산으로 등록되어 있으며, 람세스 2세의 거상 4체와 내부 부조를 보기 위해 많은 관광객이 방문한다.

4. 2. 카르나크 신전



카르나크 신전아멘 신을 모시는 이집트 최대의 신전 복합체이다. 람세스 2세는 이곳에 대규모 증축 공사를 진행했는데, 당시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제2탑문 바깥쪽에 중정을 확장하고 제2탑문 앞에 자신의 거대한 상을 세웠다.[90] 이전 파라오들의 부조는 얕아서 쉽게 변형될 수 있었지만, 람세스 2세는 자신의 조각이 돌에 깊이 새겨지도록 하여 나중에 변경될 가능성을 줄였다.[40] 이는 이집트의 태양 아래에서 조각을 더욱 눈에 띄게 하여 태양신 와의 관계를 반영한 것이기도 하다. 현재도 카르나크 신전에는 람세스 2세의 위업을 기리는 부조와 조각 등이 많이 남아 있다.

4. 3. 라메세움

람세스 2세의 라메세움 유적 항공 사진


람세스 2세가 쿠르나와 사막 사이에 지은 사원 단지는 19세기부터 라메세움으로 알려져 왔다. 그리스의 역사가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거대한 사원에 감탄했지만, 지금은 몇 개의 폐허만 남아있다.[44]

이 사원은 북서쪽과 남동쪽을 향하고 있었으며, 두 개의 안뜰을 앞에 두고 있었다. 거대한 탑문이 첫 번째 안뜰 앞에 서 있었고, 왼편에는 왕궁이, 뒤편에는 왕의 거대한 조각상이 있었다. 높이 17m, 무게 1000ton 이상인 옥좌에 앉은 파라오의 시나이암 조각상의 기단과 몸통 파편만 남아있다. 탑문에는 파라오와 그의 군대가 카데시 앞에서 도망치는 히타이트 군대를 물리치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 두 번째 안뜰 유적에는 탑문의 내부 정면 일부와 오른쪽 오시리스식 주랑의 일부가 포함되어 있다. 벽에는 전쟁 장면과 카데시에서 히타이트 군의 패주 장면이 반복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위쪽 레지스터에는 다산의 신인 민의 축제와 영광이 묘사되어 있다.

안뜰 반대편에는 남아있는 몇 안 되는 오시리스식 기둥과 원주가 원래의 웅장함을 짐작하게 해준다. 한때 사원 입구를 양쪽에서 장식했던 앉아있는 왕의 조각상 두 개(하나는 분홍색 화강암, 다른 하나는 검은색 화강암)의 흩어진 유적도 볼 수 있다. 거대한 홀주실(41 × 31 m)에 있는 48개의 기둥 중 39개가 중앙 열에 여전히 서 있다. 기둥들은 다양한 신들 앞에 있는 왕의 일반적인 장면으로 장식되어 있다.[45] 푸른 바탕에 금색 별로 장식된 천장의 일부도 보존되어 있다. 람세스 자녀들은 남아있는 몇 개의 벽에 있는 행렬에 등장한다. 성소는 8개의 기둥과 테트라스틸 셀로 구성된 세 개의 연속된 방으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 방의 일부는 천장에 별 장면으로 장식되어 있으며, 두 번째 방의 유적은 거의 남아 있지 않다. 사원 주변에는 진흙 벽돌로 지어진 거대한 창고가 뻗어 있었다. 폐허에서 필경사 학교의 흔적이 발견되었다.[46]

세티 1세의 사원은 홀주실 오른쪽에 있었지만, 기초 외에는 아무것도 남아있지 않다.[45]

4. 4. 페르 라메세스 건설

람세스 2세는 나일강 삼각주 지역에 새로운 수도 페르 라메세스를 건설했다. '람세스의 집'이라는 뜻을 가진 이 도시는 이집트의 새로운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로 발전했다. 페르 라메세스는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어, 아시아 지역과의 교역과 군사 활동에 유리했다.[78] 이전의 수도 테베는 상 이집트에 위치하여 아시아 지역과의 군사적 행동에 신속성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페르 라메세스로 왕도를 옮김으로써, 정보와 외교관은 훨씬 더 신속하게 람세스 2세에게 도달했고, 군대의 주요 부대도 시내에 수용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요르단 지역으로부터의 히타이트 또는 유목민의 침략에 대처하기 위해 이전보다 더욱 신속하게 군을 동원하는 것이 가능했다.

페르 라메세스 시의 인구는 30만 명을 넘어, 고대 이집트의 대도시 중 하나가 되었다. 페르 라메세스는 람세스 2세의 사후 1세기 이상 번영했다. 이전에는 타니스가 페르 라메세스라고 생각되었지만, 현대에는 페르 라메세스는 타니스가 아니라, 현대의 칸티르에 해당하는 장소에 있었다는 설이 유력하다.

5. 성경과의 관계

출애굽기에서는 파라오의 이름을 명시하지 않지만, 일부 성서학자들은 구약 출애굽기의 파라오를 람세스 2세로 추정하기도 한다. 람세스 2세가 비돔(탈 엘-레타바)의 요새와 신도시 라암셋(피람세스)를 건설하였다는 것과 제19왕조 동안 이집트에 거주하던 셈족들의 도시인 아바리스(탈 엘-다바)가 버려졌다는 것을[91] 출애굽기와 연결하여 출애굽의 역사성을 증명하려는 성서 학자와 복음주의 계열의 학자들이 있다. 하지만, 아바리스는 람세스 2세가 피람세스를 완공하고, 피람세스가 더욱 더 성장하자 아바리스가 압도당했기 때문에 아바리스가 버려진 것이라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92]

또한, 람세스 2세를 출애굽의 파라오로 보는 설은 출애굽기에서 언급되는 지명들인 얌수프(갈대바다), 비하히롯, 믹돌, 바알스본 등의 지명이 제19왕조와 제20왕조의 기록들(Papyrus Anastasi V, Papyrus Sllier IV, Papyrus Anastasi III)에서 등장한다는 것을 근거로 하고 있는 주장이기도 하다.

람세스 2세 시대 세트 신전 건립 400주년 기념 비문


카이사레아에우세비우스기독교 교회사가들 사이에서는 람세스 2세를 『탈출기』에 등장하는, 이스라엘인을 노예에서 해방시켜 달라고 모세가 요구한 파라오와 동일시하는 견해가 있다.

그러나 다음 파라오인 메르네프타로 보는 가능성이 더욱 높으며, 현재에는 람세스 2세와 성서 속 파라오를 동일시하는 견해는 적다. 또한, 『탈출기』 1장 11절에는 모세 탄생 직전의 에피소드로, 이스라엘 백성이 파라오를 위해 "비돔과 라암세스"라는 도시를 건설하게 되었다는 기술이 있으며, 2장 23절에서는 탈출하기까지 파라오가 세대 교체되었다는 설명이 있다.

6. 사망과 유산

Οσυμανδύαςgrc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진 람세스 2세는 90세 정도에 사망했으며, 심각한 치아 문제와 관절염, 동맥경화를 앓았다.[55] 그는 이집트 전역에 훌륭한 기념물을 남겼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9명의 파라오가 람세스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원래 람세스 2세는 왕들의 계곡의 KV7 무덤에 묻혔으나,[56] 도굴 때문에 사제들이 시신을 옮겨 고위 사제 파네제메 II세의 무덤에 안치했다. 그의 미라는 1881년 TT320에서 발견되었으며,[57] 현재 카이로의 이집트 문명 국립 박물관에 있다(2021년 4월 3일까지는 이집트 박물관에 있었다).[9]



파라오의 미라는 매부리코와 강한 턱을 가졌으며, 키는 약 1.7m이다. 람세스 2세의 미라를 처음으로 푼 가스통 마스페로는 "관자놀이에 몇 가닥 안 되는 머리카락이 있지만, 뒷머리에는 머리카락이 매우 빽빽하게 자라 있으며, 길이는 약 5cm로 매끄럽고 곧은 모양을 하고 있다. 사망 당시에는 흰색이었고, 살아있을 때는 어두운 갈색이었을 수 있지만, 방부 처리에 사용된 향신료(헤나)로 인해 연한 붉은색으로 변했다... 콧수염과 수염은 얇다... 머리카락은 머리와 눈썹의 머리카락처럼 흰색이다... 피부는 흙빛 갈색이며 검은 반점이 있다... 미라의 얼굴은 살아있는 왕의 얼굴을 꽤 잘 보여준다."라고 기록했다.[58][59]

1975년, 프랑스 의사 모리스 부카유가 미라를 검사한 결과 상태가 좋지 않아, 프랑스 대통령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이 이집트 당국을 설득하여 미라를 프랑스로 보냈다. 1976년 9월, 파리-르 부르제 공항에서 최고의 군사적 예우를 받으며 맞이되었고, 인류 박물관의 연구실로 옮겨졌다.[60][61][62]

1976년, 미라는 피에르 페르낭 세칼디에 의해 법의학적으로 검사되었다. 세칼디는 미라가 약간 물결치는 붉은 머리카락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고, 람세스 2세가 "베르베르형"이며, 피부가 하얗다고 결론 내렸다.[64][65] 람세스 2세의 머리카락 뿌리에 대한 후속 현미경 검사 결과, 왕의 머리카락이 원래 붉은색이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고대 이집트에서 붉은 머리카락을 가진 사람들은 세트 신과 연관되었고, 람세스 2세의 아버지인 세티 1세의 이름은 "세트의 추종자"를 의미한다.

미라의 옆모습과 정면 모습


검사 과정에서 과학적 분석 결과, 전투 부상, 오래된 골절, 관절염, 그리고 혈액 순환 불량이 발견되었다. 람세스 2세의 관절염으로 인해 그는 인생의 마지막 수십 년 동안 허리가 굽은 채로 걸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2004년 연구에서는 강직성 척추염을 가능성 있는 원인에서 제외하고 미만성 특발성 골과다증을 대안으로 제시했으며,[68] 이는 최근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다.[69] 파라오의 하악골에 상당한 구멍이 감지되었다. 연구자들은 "그의 이빨 옆의 농양은 감염으로 인해 사망할 정도로 심각했을 수 있지만, 이는 확실하게 결정할 수 없다"고 말했다.

곰팡이와 곤충을 제거하기 위해 방사선을 조사한 후, 미라는 1977년 5월 프랑스에서 이집트로 반환되었다.[70]

2021년 4월, 그의 미라는 파라오의 황금 행렬이라는 행사에서 옛 이집트 박물관에서 새로운 이집트 문명 국립 박물관으로 옮겨졌다.[9]

람세스 2세는 그의 치세 동안 전례 없는 13 또는 14개의 세드 축제를 거행했다.

7. 현대의 평가와 대중문화

람세스 2세는 그의 업적과 역사적 중요성으로 인해 현대에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프랑스 이집트학자 [https://en.wikipedia.org/wiki/Christian_Jacq 크리스티앙 자크]의 소설 람세스(소설)은 람세스 2세의 삶에 관한 역사적 사료들과 성경 내용, 그리고 작가의 상상력을 바탕으로 쓰였으나, 지나친 역사 왜곡이 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드림웍스의 이집트 왕자에서는 성경 이야기를 토대로 람세스 2세를 묘사했다.

람세스 2세는 퍼시 비시 셸리의 시 오지만디아스의 기초가 되었다.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그의 조각상 받침대에 다음과 같은 비문이 새겨져 있었다고 전한다. "나는 왕 중의 왕 오지만디아스다. 만약 누군가 내가 얼마나 위대한지, 그리고 내가 어디에 묻혀 있는지 알고 싶다면, 내 작품 중 하나를 뛰어넘어 보라."[72] 이 내용은 셸리의 시에 인용되었다.

람세스 2세의 생애는 많은 허구적 묘사에 영감을 주었다. 프랑스 작가 크리스티앙 자크의 역사 소설 시리즈 《람세스》, 아드리안 바이트라는 등장인물이 람세스 2세를 자신의 또 다른 자아인 오지만디아스의 영감으로 사용하는 그래픽 노블왓치맨》, 노먼 메일러의 소설 《고대 저녁》(람세스 9세 통치 기간에 살았던 이집트인들의 관점에서 람세스 2세의 생애를 다룸), 앤 라이스의 책 《미이라, 혹은 저주받은 람세스》(1989) (람세스가 주요 등장인물) 등이 대표적이다. 《케인 연대기》에서 람세스는 주요 등장인물인 세이디와 카터 케인의 조상으로 등장한다. 람세스 2세는 비디오 게임 《문명 5》의 등장인물 중 하나이며, 속편인 《문명 6》의 추가 다운로드 가능한 콘텐츠에도 등장한다.

맨해튼 이스트 빌리지의 언더그라운드 록 밴드 더 퓨그스는 1968년 앨범 《내 손으로 기어왔어, 솔직히》에 "람세스 2세는 죽었다, 내 사랑"이라는 곡을 발표했다.[73]

미셸 모란의 소설 《이교도 여왕》(2008년 출판)은 람세스 2세와 네페르타리의 사랑 이야기와 결혼 초창기를 다룬다. 람세스 2세가 두 아내 네페르타리와 이세트 중 누구를 왕비로 정할지 고민하는 시기를 배경으로 하며, 무트노제메트 여왕과 나흐트민 장군의 딸이자 고아인 네페르타리(네페르티티 여왕과 아크나톤 파라오의 조카)의 시점에서 이야기가 전개된다. 이 소설은 허구이지만, 람세스 2세 통치 초기의 많은 역사적 사건과 인물을 다루며 당시의 삶과 인물들에 대한 시각을 제공한다.

참조

[1] 웹사이트 Mortuary temple of Ramesses II at Abydos http://www.philae.nu[...] 2008-10-28
[2] 웹사이트 Temples of Ramesses II http://euler.slu.edu[...] 2008-04-23
[3] 백과사전 Rameses http://www.yourdicti[...] Wiley Publishing 2011-04-27
[4] 백과사전 Ramses http://www.yourdicti[...] Wiley Publishing 2011-04-27
[5] 논문 Exploring Semantic Perturbations on Grover arXiv:2302.00509
[6] 웹사이트 Diodorus Siculus, Bibliotheca Historica, Books I-V, book 1, chapter 47, section 4 https://www.perseus.[...] 2011-10-10
[7] 웹사이트 Ozymandias https://www.pbs.org/[...] 2008-03-30
[8] 웹사이트 Gerard http://ourworld.comp[...] 2008-04-23
[9] 뉴스 22 Ancient Pharaohs Have Been Carried Across Cairo in an Epic 'Golden Parade' https://www.sciencea[...] 2021-04-05
[10] 서적 Tutankhamun's Armies: Battle and Conquest During Ancient Egypt's Late Eighteenth Dynasty John Wiley & Sons
[11] 웹사이트 Josephus https://pharaoh.se/j[...] 2023-10-27 #추정 날짜
[12] 서적 Ramesside Administrative Documents Oxford
[13] 서적 A Note on the Accession Date of Merenptah
[14] 웹사이트 Announcement of the Passing of Ramesses II https://www.academia[...]
[15] 서적 The Great Armies of Antiquity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6] 서적
[17] 서적 On Cooking Pots, Drinking Cups, Loomweights and Ethnicity in Bronze Age Cyprus and Neighbouring Regions
[18] 웹사이트 The Naue Type II Sword http://www.eclectich[...] 2008-05-30
[19] 서적 Cairo and the Pyramids (Rough Guides Snapshot Egypt) https://books.google[...] Rough Guides UK 2020-07-04
[20] 문서
[21] 문서
[22] 웹사이트 The Battle of Kadesh in the context of Hittite history https://web.archive.[...]
[23] 서적 100 Battles, Decisive Battles that Shaped the World Parragon
[24] 서적
[25] 문서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29] 문서
[30] 문서
[31] 문서
[32] 서적 Warriors of Anatolia: A Concise history of the Hittites Bloomsbury 2023
[33] 문서
[34] 문서
[35] 문서
[36] 웹사이트 Beit el-Wali http://oi.uchicago.e[...] University of Chicago 2008-04-21
[37] 서적 Proceedings of the Seventh International Congress of Egyptologists, Cambridge, 3-9 September 1995 Leuven: Peeters
[38] 웹사이트 Sed festival http://www.globalegy[...] The Global Egyptian Museum 2008-04-07
[39] 웹사이트 Renewal of the kings' Reign : The Sed Heb of Ancient Egypt http://www.arabworld[...] 2016-11-05
[40] 웹사이트 Chapter XV: Rameses the Great http://digital.libra[...] 2008-04-23
[41] 서적 Pharaoh Triumphant Aris & Phillips 1985-04-30
[42] 서적 Judeo-Arabic Translation of Pentateuch (Tafsir) Mossad Harav Kook
[43] 서적 The Land that I Will Show You: Essays on the History and Archaeology of the Ancient Near East in Honour of J. Maxwell Miller https://books.google[...] Sheffield Academic Press 2001
[44] 서적 The Historical Library of Diodorus the Sicilian https://archive.org/[...] Printed by W. MʻDowall for J. Davis
[45] 웹사이트 The Ramesseum (Egypt), Recent Archaeological Research http://www.archeo.en[...] 2008-04-10
[46] 웹사이트 À l'école des Scribes http://www2.cnrs.fr/[...] 2008-04-21
[47] 서적 The Image of the Ordered World in Ancient Nubian Art: The Construction of the Kushite Mind, 800 Bc-300 Ad Brill
[48] 뉴스 Giant Ramses statue gets new home http://news.bbc.co.u[...] 2006-08-25
[49] 웹사이트 The removal of Ramses II Statue http://guardians.net[...] 2007-03-17
[50] 웹사이트 Egypt: Prehistoric 'Pharaoh's Seat' Discovered in Egypt – Document – Gale General OneFile https://go.gale.com/[...] AllAfrica Global Media 2018-10-26
[51] 웹사이트 Egyptian archeologists unearth pharaoh's celebration compartment in Cairo https://go.gale.com/[...] 2018-10-25
[52] 웹사이트 Red Granite Bust of Ramesses II Unearthed in Giza https://www.archaeol[...] 2019-12-13
[53] 뉴스 Sword with pharaoh's mark found in Egypt, still shimmering 3,000 years later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24
[54] 서적 Manetho, with an English translation by W.G. Waddell Alpha Editions
[55] 웹사이트 La momie de Ramsès II. Contribution scientifique à l'égyptologie http://cat.inist.fr/[...] 2015-02-27
[56] 웹사이트 Rameses II Theban Mapping Project https://thebanmappin[...] 2023-03-19
[57] 웹사이트 NMEC https://nmec.shortha[...] 2023-08-18
[58] 서적 Valley of the Kings Castle Books
[59] 서적 Egyptian Archaeology https://archive.org/[...] Putnam
[60] 뉴스 Paris Mounts Honor Guard For a Mummy https://www.nytimes.[...] 1976-09-28
[61] 웹사이트 Ramesses rides again http://newscientist.[...] New Scientist 2013-12-13
[62] 웹사이트 Was the great Pharaoh Ramesses II a true redhead? https://www.manchest[...] The University of Manchester 2010-02-03
[63] 웹사이트 This image was digitally created for representative purposes Fact Check https://factcheck.af[...] 2020-10-20
[64] 학술지 Recherches sur les momies: Ramsès II
[65] 웹사이트 Bulletin de l'Académie nationale de médecine http://gallica.bnf.f[...] 1987-01-06
[66] 서적 Civilization or barbarism : an authentic anthropology 1991
[67] 웹사이트 Ancient pharaoh's hair returns to Egypt https://www.nbcnews.[...] 2007-04-10
[68] 학술지 Did Ramesses II really have ankylosing spondylitis? A reappraisal 2004-10
[69] 학술지 Brief Report: Ankylosing Spondylitis or Diffuse Idiopathic Skeletal Hyperostosis in Royal Egyptian Mummies of the 18th–20th Dynasties? Computed Tomography and Archaeology Studies 2014
[70] 뉴스 'Cleaned-Up' Mummy Flown Home to Egypt https://www.newspape[...] 1977-05-11
[71] 웹사이트 Tomb of Ramses II sons http://www.narmer.pl[...] 2015-02-27
[72] 웹사이트 Ozymandias http://rpo.library.u[...] 2006-09-18
[73] 서적 1968: A History in Verse Black Sparrow Press 1997
[74] 서적 The Book of Exodus: Composition, Reception, and Interpretation BRILL
[75] 웹사이트 Ramesses the Great https://www.bbc.co.u[...] BBC history 2008-05-30
[76] 서적 古代エジプト女王伝 新潮選書 1983
[77] 문서 ハットゥシリ3世の娘
[78] 서적 The Penguin Historical Atlas of Ancient Egypt Penguin 1995
[79] 뉴스 Paris Mounts Honor Guard For a Mummy https://www.nytimes.[...] 2019-10-31
[80] 웹사이트 Ramesses rides again http://newscientist.[...] New Scientist 2013-12-13
[81] 웹사이트 Was the great Pharaoh Ramesses II a true redhead? https://www.manchest[...] 2010-02-03
[82] 웹사이트 ミイラやネコも? パスポートの意外なトリビア https://natgeo.nikke[...] 2018-10-31
[83] 웹사이트 In 1974, the Mummy of Pharaoh Ramesses II Was Issued a Valid Egyptian Passport So That He Could Fly to Paris! https://www.vintag.e[...] 2020-05-14
[84] 웹사이트 Podcasts - Ramses II. erhielt 1974 einen ägyptischen Reisepass https://webcache.goo[...] 2020-02-19
[85] 웹사이트 In 1974, the Mummy of Pharaoh Ramesses II Was Issued a Valid Egyptian Passport So That He Could Fly to Paris! https://www.vintag.e[...] 2020-05-14
[86] 뉴스 三千年前の「高貴な女性」の墓、早大チームがエジプトで発掘 https://www.afpbb.co[...] 2009-03-04
[87] 웹사이트 新王国時代 第19王朝 ラメセス2世 http://www.moonover.[...] 2008-09-23
[88] 웹사이트 (4416) Ramses = 1979 TP1 = 1981 EX47 = 4530 P-L = PLS4530 https://minorplanetc[...] MPC 2021-10-08
[89] 서적 The Pageant of World History https://archive.org/[...] Allyn & Bacon 1986
[90] 서적 The Pageant of World History https://archive.org/[...] Allyn & Bacon 1986
[91] 논문 Report on the excavations of a Hyksos Palace of Tell el Dabᶜa/Avaris 2013
[92]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2021
[93] 서적 Israel's Exodus in Transdisciplinary Perspective: Text, Archaeology, Culture, and Geoscience Springer 2015
[94] 서적 The Topography of New Kingdom Avaris and Per-Ramesses
[95] 서적 Israel's Exodus in Transdisciplinary Perspective: Text, Archaeology, Culture, and Geoscience Springer 2015
[96] 서적 Asien und Europa nach Altägyptischen Denkmälern Leipzig 1893
[97] 문서 물론, 이를 아셀 지파로 식별하는 것에 반대하는 학자들도 있다. 아셀 지파가 이스라엘로 귀화한 외국 민족으로 보는 학자들도 있는데, 이들은 후기 청동기 시대 붕괴 때 가나안으로 이주한 바다 민족(Sea Peoples)인 웨쉐시(Weshesh)와 동일한 민족으로 식별한다.
[98] 논문 The Earliest Reference to Israel and Its Possible Archaeological and Historical Background 2017
[99] 서적 Ancient Near Eastern Texts Relating to the Old Testament Princeton 1955
[100] 논문 'Irsu, the Kharu' in Papryus Harris 1979
[101] 서적 Israel's Exodus in Transdisciplinary Perspective: Text, Archaeology, Culture, and Geoscience Springer 201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